티스토리 뷰

반응형

한국의 빅 테크 기업이라고 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메신저 어플 카카오톡으로 시작해 다양한 분야로 발을 뻗고 있는 카카오가 떠오르는데요. 카카오가 올해 글로벌 학회에 등재한 AI 관련 논문이 40건에 달한다는 소식입니다. 한번 살펴볼게요.

 

AI 논문 40건 등재한 카카오의 저력

AI 논문 40건 등재하다

카카오가 2021년 글로벌 학회에서 AI 관련 기술 역량을 인정받았다고 합니다. 카카오는 다양한 자회사를 가지고 있는데요. 그중 하나인 카카오브레인은 글로벌 학회 10곳에 15개의 논문을 등재했다고 합니다. 이와 더불어 카카오 엔터프라이즈는 25건의 논문을 2021년 동안 등재하였는데, 전부 합치면 총 40건의 AI 논문을 카카오 혼자 등재한 셈입니다. 그렇다면 카카오 브레인은 어떤 분야에서의 논문을 등재한 것일까요?

 

카카오 브레인은 의료, 자연과학 등의 분야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기술적인 성과를 보였는데요. 2021년 3월에는 Medcal Image Analysis 저널에 논문 1건을 발표하고 종합 1위를 수상하였다고도 합니다. 이는 폐 결절을 진단할 수 있는 자동화된 AI에 대한 내용을 담은 논문으로 의료 분야와 AI 분야에서의 성과를 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연과학 저널인 Science Bulletin에는 엘리뇨 현상과 관련하여 기압의 진동현상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발표하기도 했는데요. 5월에는 글로벌 학술 경연 대회에 참가하여 2개의 논문을 발표하고 상위 4%에게만 주어지는 구두 발표 기회를 얻기도 하였답니다. 

 

앞서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25건의 논문을 올 한 해 등재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카카오 엔터프라이즈의 경우에는 자연어 처리 분야, 컴퓨터 비전 영역에서 긍정적인 기술적 역량을 보였다고 합니다. 10월에는 글로벌 AI 자연어 이해 경진대회에서 Passage Ranking 분야 1위를 차지하였고 컴퓨터 비전 관련된 경연에서는 2위와 4위를 달성했다고 하네요. 카카오라는 기업이 다양한 분야에 문어발 형식으로 진입하는 것을 일컫어 대기업의 횡포라는 인식이 좀 있었습니다. 이에 빅 테크 기업 규제가 다수 언급되며 카카오를 비롯한 네이버 등의 빅 테크 기업의 주가가 떨어지기도 하였는데요. 하지만 이런 자본과 기술적 역량이 필요한 과학 분야에서의 선전은 좋은 횡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국 기술적으로 앞서 나가면 카카오뿐만 아니라 국가의 역량 강화에도 기여를 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앞으로도 좋은 성과를 보여주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렇다면 카카오 브레인과 카카오 엔터프라이즈가 어떤 일을 하는 기업인지 궁금하지는 않으신가요?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카카오 브레인 무엇하는 회사일까?

카카오브레인

 

카카오브레인은 2017년 설립된 카카오의 AI 자회사입니다. 카카오의 본격적인 인공지능 연구는 물론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회사라고 하는데요. 국가적으로 AI를 국가필수 전략으로 선정한 상황인 만큼 카카오 브레인이 카카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고 합니다. 카카오 브레인은 한국에서 인공지능 분야로 손꼽히는 기업이라고 하는데, 삼성 SDS와 네이버와 우열을 가리고 있다고 합니다. 그럼 정확히 어떤 연구를 하는 걸까요? 카카오 브레인 홈페이지에서 알 수 있는 내용을 한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브레인 클라우드

브레인 클라우드는 딥러닝 연구를 위한 자원과 환경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입니다. 그래픽 처리 장치 자원의 사용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한편, 연구자의 클라우드 사용 편의성과 연구 속도를 높이는 다양한 기능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메타 러닝

메타 러닝은 기계 스스로 무엇인가를 배우는 방법 또는 지식을 습득하는 기계학습 이론을 뜻합니다. 자동화된 방법으로 인공지능 학습을 제어하는 AutoMLd을 중점적으로 연구합니다. 또한 메타러닝 기법이 필요한 다양한 도메인에서의 인공지능 개발도 진행 중입니다.

 

영상

이미지 속 사람 혹은 물체를 찾거나 행동을 인식하는 기술과 멀티모달 데이터의 의미를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연구합니다. 이런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제품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음성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과 주어진 텍스트를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읽는 음성을 생성하는 음성 합성, 음성을 다른 스타일로 바꿔주는 음성변환에 관한 기술을 만듭니다. 특히 학습에 필요한 음성 데이터양을 대폭 줄이면서도, 하나의 모델로 다양한 음성 스타일을 처리하는 연구와 생성 속도가 빠르면서도 고품질의 모델을 만드는데 집중합니다.

 

자연어 처리

사람의 언어를 이해하고 사람처럼 언어를 구사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연구합니다. 이론과 원리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관련 응용분야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최종적으로는 자연어 이해 모델을 기반으로 한 언어 생성 모델 및 대화형 인공지능 모델을 만들고자 합니다.

 

정말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카카오의 연구가 흥행해서 미래에 많은 분야에서의 혁신을 가져오기를 희망해봅니다. 관련 기사 전문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사내용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5&oid=014&aid=0004763525 

 

카카오, 올해 글로벌 학회 25곳에서 AI 논문 40건 등재

[파이낸셜뉴스] 카카오가 올 한해 다수의 글로벌 학회에서 AI(인공지능) 기술 역량을 인정받으며 AI 리더십을 뽐냈다. 카카오의 AI 기술 기업 카카오브레인은 28일 글로벌 10개 학회에서 15개의 논

news.naver.com

 

 

반응형
댓글